1900년대 세계 경제 이야기/요런저런 세계 이야기

1957년 로마조약 체결과 유럽경제공동체(EEC)의 탄생 정리

세계경제재믹다 2025. 7. 3. 15:27
반응형

유럽 통합의 출발점, EEC의 역사적 의의


📰 개요

1957년 3월 25일, 이탈리아 로마에서 유럽 6개국이 로마조약(Treaty of Rome)에 서명하며

유럽경제공동체(EEC, European Economic Community)와 유럽원자력공동체(EURATOM)가 공식 출범했습니다.
이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분열된 유럽을 경제적으로 통합하려는 움직임의 결정적 이정표로 평가받습니다.


🌍 로마조약이란?

🔹 참여국

  • 독일연방공화국(서독)
  • 프랑스
  • 이탈리아
  • 벨기에
  • 네덜란드
  • 룩셈부르크

🔹 주요 목적

  • 관세 동맹 형성
  • 공동 시장 구축
  • 자본, 노동, 상품, 서비스의 자유로운 이동
  • 경쟁정책과 공통농업정책(CAP) 도입

🔧 배경 및 전개 과정

💥 전쟁 후 재건과 평화 의지

  • 두 차례의 세계대전으로 폐허가 된 유럽, 경제 재건과 평화 유지를 위한 협력 필요
  • 1951년 ECSC(유럽석탄철강공동체)의 성공적 운영이 토대 마련

🧩 정치·경제적 계산

  • 미국은 마셜 플랜 이후 유럽의 자립을 원했고
  • 유럽은 경제적 분열보다 공동체 이익 추구로 회귀

🔄 EEC의 주요 성과

항목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내용

 

📈 경제 성장 관세 철폐와 경쟁 촉진으로 무역 활성화, 산업 효율 증가
🧳 노동 이동 인력 수요 충족 및 유럽 내부 이민 흐름 안정화
🌽 농업정책 공통농업정책(CAP)으로 식량 안보와 농민 보호
🏗️ 제도 기반 향후 EU(유럽연합)으로 발전할 수 있는 법적·제도적 기반 구축

 


📌 마무리 요약

1957년 로마조약은 전후 유럽 경제통합의 제도적 시작점으로, 공동 시장을 기반으로 한 유럽경제공동체(EEC) 출범을

가능케 했습니다.
이는 관세 철폐, 자본·노동의 자유로운 이동, 농업 공동정책 등 경제적 연대를 기반으로 한 유럽 통합의 핵심 엔진이었으며,

이후 EU 탄생의 기초가 되었습니다.

 
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로마조약과 마스트리히트 조약은 다른가요?

A. 네, 로마조약은 1957년 EEC 출범을 위한 조약이고, 마스트리히트 조약(1992년)은 이를 확장해

유럽연합(EU)을 정식 출범시키는 조약입니다.

Q2. 왜 6개국만 참여했나요?

A. 초기에는 정치적 의지와 경제력, 전쟁 피해 복구 필요성이 강한 국가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시작됐습니다.

이후 점진적으로 확대됩니다.

Q3. EEC는 EU와 같은 개념인가요?

A. EEC는 EU의 전신입니다. EEC → EC → EU로 발전하면서 정치·사회적 통합까지 확장되었습니다.

반응형